작성일
2022.02.09
수정일
2023.01.03
작성자
황희수
조회수
198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카마타 요코,&강정은(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ata of vacant houses in 2017 and 2020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vacant houses in Ami-dong and Chojang-dong in Seo-gu, Busan, which are the areas suffering from a severe decline of the old downtown. In particular, the current situ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all vacant houses, new vacant houses, persistent vacant houses, and reused vacant houses, we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 data from two different points in time. A complete site survey on detached houses, including unauthorized houses,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Kernel density analysis was used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vacant house, and the binary logi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acancy status of hous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 the surveyed area increased by 1.46 times from 340 in 2017 to 298 in 2020, and the range of the region where vacant houses were located also expanded widely.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proportion of persistent vacant houses in the neighborhoo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evalence of persistent vacant houses. Unlicensed houses tended to be newly vacant, and the new vacant houses were found even in areas considered to be in relatively advantageous locations with a low proportion of persistent vacant houses in their vicinity, indicating that the regions with the prevalent occurrence of vacant houses were expanding. Factors such as the accessibility to the city center, value of the house, and presence of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zones affect the reuse of vacant houses.


연구과제 -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연구재단


DOI 링크 : http://doi.org/10.17208/jkpa.2021.12.56.7.73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SCI(E)] HA, J. H., KANG, J, E. (2022). Assessment of flood-risk area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s: Busan Metropolitan City. Natural Hazards
이세호 2022-04-28 11:25:20.27
이전글
[KCI] 동아현, 강정은, 이상혁, 하지혜, 이지윤 (2021). 기후변화 적응대책·기술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49-66.
황희수 2021-03-30 11:27:02.163
RSS 2.0 50
게시물 검색
연구논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50 [KCI] 이세호, 강정은, 이지윤, 박민영, 최지윤 (2023).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32(5):318- 이세호 2023.10.27 0 51
49 [KCI] 최지윤, 박민영, 강정은 (2023). 머신러닝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시 중심지 체계 및 영향권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3):66-85 이세호 2023.10.27 0 64
48 [국제일반] KIM, T.H., PARK, C.S., LEE, S.H., KANG, J.E. (2023). Gap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Heat Wave Ada 이세호 2023.05.22 0 179
47 [KCI] 황희수, 최지윤, 강정은 (2023). 폭염 취약지역과 건강 피해 발생의 공간적 일치성에 따른 지역 유형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6(1):89-113. 황희수 2023.04.14 0 137
46 [KCI] 하지혜, 강정은 (2022).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3):29-58 이세호 2022.11.15 0 126
45 [KCI] 김종성, 강정은 (2022). ENVI-met을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열환경 변화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13(5):659-677. 이세호 2022.11.09 0 134
44 [SSCI] Lee, S.H, Kang, J.E. (2022).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urban 이세호 2022.11.07 0 117
43 [KCI] 이지윤, 강정은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층 활동 공간 패턴 및 특성 분석 : 청장년층과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7(3), 161-173. 이세호 2022.08.23 0 220
42 [KCI] 이상혁, 강정은, 배현주 (2022). 빅데이터 기반 폭염 영향 지역의 공간적 탐색: 도시민의 활동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3), 59-67. 이세호 2022.08.23 0 185
41 [SCI(E)] LEE. S. H., KANG. J. E. (2022). Spatial Disparity of Visitors Changes during Particulate Matter Warn 이세호 2022.05.27 0 189
40 [KCI] 문성곤, 강정은 (2022).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1):56-76 이세호 2022.05.27 0 166
39 [SCI(E)] HA, J. H., KANG, J, E. (2022). Assessment of flood-risk area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s: Busan 이세호 2022.04.28 0 206
38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황희수 2022.02.09 0 199
37 [KCI] 동아현, 강정은, 이상혁, 하지혜, 이지윤 (2021). 기후변화 적응대책·기술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49-66. 황희수 2021.03.30 0 347
36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0). 한국과 일본의 빈집 현황과 발생 요인에 관한 실증적 비교분석. 국토계획, 55(7):56-72. 황희수 2021.01.18 0 356
35 [SSCI] Bae, H.J., Kang, J.E. and Lim, Y.R. (2020). Assessment of Relative Asthma Risk in Populations Living 동아현 2020.11.05 0 283
34 [KCI] 황희수, 강정은 (2020). 위성영상과 민간자동관측시스템 자료를 활용한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 분포 특성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황희수 2020.10.05 0 297
33 [KCI] 동아현, 강정은 (2020). 효율성 분석을 활용한 지자체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특성 분석 황희수 2020.09.24 0 298
32 [SCI(E)] Lee, S.H., Kang, J.E., Park, C.S., Yoon, D.K., Yoon, S.Y. (2020). Multi-risk assessment of heat wave 동아현 2020.08.10 0 331
31 [KCI] 하지혜, 강정은 (2020). 기후변화를 고려한 대설재난 피해액 예측 동아현 2020.08.10 0 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