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4.07.16
수정일
2024.07.16
작성자
최훈혁
조회수
11

[SCI(E)]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Effect of greening vacant houses on improvement in thermal environment using ENVI-met simulation: A case study on Busan metropolitan city. EP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0(0):1-14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Effect of greening vacant houses on improvement in thermal environment using ENVI-met simulation: A case study on Busan metropolitan city. EP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0(0):1-14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improvement in outdoor thermal environment by greening of persistently vacant housing and open areas in a densely built old downtown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ENVI-met. Simulation was performed for a summer day by constructing four scenarios for four areas considering the building density and slope dire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pared to the current scenario, the concrete scenario had the worst thermal environment, where the average temperature, mean radiant temperature (MRT), and physiological equivalent temperature (PET) increased by 0.04°C, 1.49°C, and 0.51°C, respectively. In contrast, the tree scenario exhibited the most significant improvement. The average temperature, MRT, and PET decreased by 0.03°C, 1.66°C, and 0.65°C, respectively. Moreover, the removal of vacant houses in dense residential areas improved ventilation, and PET decreased by approximately 8°C locally. Planting trees higher than the demolished vacant houses mitigated the thermal environment considerably. The effect of greening was the strongest in the residential areas located on the south-facing slope with the worst thermal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essential data for implementing greening as a smart reduction strategy in the sustainable management of vacant houses. 


Keywords : ENVI-met, greening, heat environment, old downtown, persistently vacant housing 


연구과제 : 연구재단 


DOI 링크 : https://doi.org/10.1177/239980832312173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대도시 원도심 빈집 고착화와 재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8(7):96-107
최훈혁 2024-07-16 12:52:02.163
이전글
[KCI] 이세호, 강정은, 이지윤, 박민영, 최지윤 (2023).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32(5):318-337
이세호 2023-10-27 09:25:10.01
RSS 2.0 53
게시물 검색
연구논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53 [SCI(E)]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최훈혁 2024.07.16 0 13
52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대도시 원도심 빈집 고착화와 재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8(7):96-107 최훈혁 2024.07.16 0 20
51 [SCI(E)]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Effect of greening vacant houses on improvement in thermal environment using ENV 최훈혁 2024.07.16 0 11
50 [KCI] 이세호, 강정은, 이지윤, 박민영, 최지윤 (2023).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32(5):318- 이세호 2023.10.27 0 77
49 [KCI] 최지윤, 박민영, 강정은 (2023). 머신러닝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시 중심지 체계 및 영향권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3):66-85 이세호 2023.10.27 0 77
48 [국제일반] KIM, T.H., PARK, C.S., LEE, S.H., KANG, J.E. (2023). Gap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Heat Wave Ada 이세호 2023.05.22 0 193
47 [KCI] 황희수, 최지윤, 강정은 (2023). 폭염 취약지역과 건강 피해 발생의 공간적 일치성에 따른 지역 유형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6(1):89-113. 황희수 2023.04.14 0 153
46 [KCI] 하지혜, 강정은 (2022).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3):29-58 이세호 2022.11.15 0 150
45 [KCI] 김종성, 강정은 (2022). ENVI-met을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열환경 변화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13(5):659-677. 이세호 2022.11.09 0 140
44 [SSCI] Lee, S.H, Kang, J.E. (2022).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urban 이세호 2022.11.07 0 121
43 [KCI] 이지윤, 강정은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층 활동 공간 패턴 및 특성 분석 : 청장년층과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7(3), 161-173. 이세호 2022.08.23 0 233
42 [KCI] 이상혁, 강정은, 배현주 (2022). 빅데이터 기반 폭염 영향 지역의 공간적 탐색: 도시민의 활동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3), 59-67. 이세호 2022.08.23 0 187
41 [SCI(E)] LEE. S. H., KANG. J. E. (2022). Spatial Disparity of Visitors Changes during Particulate Matter Warn 이세호 2022.05.27 0 195
40 [KCI] 문성곤, 강정은 (2022).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1):56-76 이세호 2022.05.27 0 168
39 [SCI(E)] HA, J. H., KANG, J, E. (2022). Assessment of flood-risk area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s: Busan 이세호 2022.04.28 0 215
38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황희수 2022.02.09 0 215
37 [KCI] 동아현, 강정은, 이상혁, 하지혜, 이지윤 (2021). 기후변화 적응대책·기술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49-66. 황희수 2021.03.30 0 354
36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0). 한국과 일본의 빈집 현황과 발생 요인에 관한 실증적 비교분석. 국토계획, 55(7):56-72. 황희수 2021.01.18 0 363
35 [SSCI] Bae, H.J., Kang, J.E. and Lim, Y.R. (2020). Assessment of Relative Asthma Risk in Populations Living 동아현 2020.11.05 0 286
34 [KCI] 황희수, 강정은 (2020). 위성영상과 민간자동관측시스템 자료를 활용한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 분포 특성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황희수 2020.10.05 0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