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4.07.16
수정일
2024.07.16
작성자
최훈혁
조회수
11

[SCI(E)]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Greening Vacant Houses in Old Downtown Metropolitan Areas. Sustainability. 16(1):114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Greening Vacant Houses in Old Downtown Metropolitan Areas. Sustainability. 16(1):114


 While greening vacant houses is encouraged as a sustainable strategy, there is a paucity of quantitative research on its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effects of greening neglected vacant houses and barren sites in densely built old downtown areas. To achieve this goal,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f the actual conditions of vacant houses and barren sites in Ami-dong and Chojang-dong in Busan Metropolitan City. Subsequently, four scenarios for greening vacant houses and barren sites were developed, and rainfall runoff s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the K-LIDM model. Furthermore, the annual CO2 fixation for greening with trees was calculated using established research formulas. This study found that 73% of vacant houses in the study area remain unoccupied for an extended period, and when demolished, 56% become concrete-paved barren sites. The runoff simulations indicated that greening with trees led to a 1.71% decrease in annual runoff volume in the long-term model, with peak runoff volume reductions of 3.06% and 2.38% during 2-year and 30-year rainfall events in the short-term model, respectively. Planting trees could accommodate 3058 trees, fixing 62,124 kg of CO2 annually. This study demonstrates the climate change response effects of greening vacant houses. 


Keywords : climate change; CO2 mitigation; flood risk mitigation; greening; old downtown metropolitan areas; vacant house 

 

연구과제 : 환경보건감시체계, BK21,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DOI 링크 : https://doi.org/10.3390/su16010114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가) 없습니다.
이전글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대도시 원도심 빈집 고착화와 재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8(7):96-107
최훈혁 2024-07-16 12:52:02.163
RSS 2.0 53
게시물 검색
연구논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53 [SCI(E)]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최훈혁 2024.07.16 0 11
52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대도시 원도심 빈집 고착화와 재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8(7):96-107 최훈혁 2024.07.16 0 17
51 [SCI(E)]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Effect of greening vacant houses on improvement in thermal environment using ENV 최훈혁 2024.07.16 0 7
50 [KCI] 이세호, 강정은, 이지윤, 박민영, 최지윤 (2023).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32(5):318- 이세호 2023.10.27 0 75
49 [KCI] 최지윤, 박민영, 강정은 (2023). 머신러닝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시 중심지 체계 및 영향권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3):66-85 이세호 2023.10.27 0 73
48 [국제일반] KIM, T.H., PARK, C.S., LEE, S.H., KANG, J.E. (2023). Gap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Heat Wave Ada 이세호 2023.05.22 0 192
47 [KCI] 황희수, 최지윤, 강정은 (2023). 폭염 취약지역과 건강 피해 발생의 공간적 일치성에 따른 지역 유형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6(1):89-113. 황희수 2023.04.14 0 151
46 [KCI] 하지혜, 강정은 (2022).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3):29-58 이세호 2022.11.15 0 145
45 [KCI] 김종성, 강정은 (2022). ENVI-met을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열환경 변화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13(5):659-677. 이세호 2022.11.09 0 138
44 [SSCI] Lee, S.H, Kang, J.E. (2022).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urban 이세호 2022.11.07 0 121
43 [KCI] 이지윤, 강정은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층 활동 공간 패턴 및 특성 분석 : 청장년층과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7(3), 161-173. 이세호 2022.08.23 0 233
42 [KCI] 이상혁, 강정은, 배현주 (2022). 빅데이터 기반 폭염 영향 지역의 공간적 탐색: 도시민의 활동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3), 59-67. 이세호 2022.08.23 0 187
41 [SCI(E)] LEE. S. H., KANG. J. E. (2022). Spatial Disparity of Visitors Changes during Particulate Matter Warn 이세호 2022.05.27 0 195
40 [KCI] 문성곤, 강정은 (2022).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1):56-76 이세호 2022.05.27 0 168
39 [SCI(E)] HA, J. H., KANG, J, E. (2022). Assessment of flood-risk area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s: Busan 이세호 2022.04.28 0 214
38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황희수 2022.02.09 0 212
37 [KCI] 동아현, 강정은, 이상혁, 하지혜, 이지윤 (2021). 기후변화 적응대책·기술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49-66. 황희수 2021.03.30 0 354
36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0). 한국과 일본의 빈집 현황과 발생 요인에 관한 실증적 비교분석. 국토계획, 55(7):56-72. 황희수 2021.01.18 0 363
35 [SSCI] Bae, H.J., Kang, J.E. and Lim, Y.R. (2020). Assessment of Relative Asthma Risk in Populations Living 동아현 2020.11.05 0 286
34 [KCI] 황희수, 강정은 (2020). 위성영상과 민간자동관측시스템 자료를 활용한 도시열섬과 도시오염섬의 공간 분포 특성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황희수 2020.10.05 0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