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5.04.07
수정일
2025.04.07
작성자
최훈혁
조회수
12

[KCI]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부산광역시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과 지역 폭염 취약 특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4), 465-485.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부산광역시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과 지역 폭염 취약 특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4), 465-485.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무더위쉼터의 서비스권역을 도출하고 공간회귀모델을 활용하여 지역의 폭염 취약 특성과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 비율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은 지형 특성인 경사도와 일반인 및 고령자의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폭염 취약 특성은 인구적 물리적 경제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분석 결과,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 비율은 일반인의 보행속도로 17.8&, 고령층의 보행으로 12.6%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서비스권역 비율의 지역 간 격차도 확인되었는데, 부산광역시 원도심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 폭염 취약 특성과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 비율과의 관계 분석에서는 소규모 주택이 밀집한 지역 및 저소득층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서비스권역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폭염에 취약한 고령자 비율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 아, 고령 취약계층에 대한 고려는 다소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 Heat wave, Cooling center, Service area, Vulnerable class, Climate adaptation 


연구과제 :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사업, 스마트시티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다음글이(가) 없습니다.
이전글
[SCI(E)] 이지윤, 황희수, 강정은, 최희선 (2025). Factors affecting urban park utilization in Seoul: Insights from telecommunication data. Cities. 156:105452
최훈혁 2024-11-19 16:37:53.463
RSS 2.0 55
게시물 검색
연구논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55 [KCI]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부산광역시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과 지역 폭염 취약 특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4), 465-485. 최훈혁 2025.04.07 0 12
54 [SCI(E)] 이지윤, 황희수, 강정은, 최희선 (2025). Factors affecting urban park utilization in Seoul: Insights from 최훈혁 2024.11.19 0 29
53 [SCI(E)]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최훈혁 2024.07.16 0 32
52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대도시 원도심 빈집 고착화와 재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8(7):96-107 최훈혁 2024.07.16 0 44
51 [SCI(E)]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Effect of greening vacant houses on improvement in thermal environment using ENV 최훈혁 2024.07.16 0 24
50 [KCI] 이세호, 강정은, 이지윤, 박민영, 최지윤 (2023).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32(5):318- 이세호 2023.10.27 0 85
49 [KCI] 최지윤, 박민영, 강정은 (2023). 머신러닝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시 중심지 체계 및 영향권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3):66-85 이세호 2023.10.27 0 87
48 [SCI(E)] KIM, T.H., PARK, C.S., LEE, S.H., KANG, J.E. (2023). Gap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Heat Wave Ada 이세호 2023.05.22 0 199
47 [KCI] 황희수, 최지윤, 강정은 (2023). 폭염 취약지역과 건강 피해 발생의 공간적 일치성에 따른 지역 유형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6(1):89-113. 황희수 2023.04.14 0 165
46 [KCI] 하지혜, 강정은 (2022).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3):29-58 이세호 2022.11.15 0 27
45 [KCI] 김종성, 강정은 (2022). ENVI-met을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열환경 변화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13(5):659-677. 이세호 2022.11.09 0 155
44 [SCI(E)] Lee, S.H, Kang, J.E. (2022).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urban 이세호 2022.11.07 0 129
43 [KCI] 이지윤, 강정은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층 활동 공간 패턴 및 특성 분석 : 청장년층과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7(3), 161-173. 이세호 2022.08.23 0 234
42 [KCI] 이상혁, 강정은, 배현주 (2022). 빅데이터 기반 폭염 영향 지역의 공간적 탐색: 도시민의 활동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3), 59-67. 이세호 2022.08.23 0 189
41 [SCI(E)] LEE. S. H., KANG. J. E. (2022). Spatial Disparity of Visitors Changes during Particulate Matter Warn 이세호 2022.05.27 0 197
40 [KCI] 문성곤, 강정은 (2022).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1):56-76 이세호 2022.05.27 0 169
39 [SCI(E)] HA, J. H., KANG, J, E. (2022). Assessment of flood-risk area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s: Busan 이세호 2022.04.28 0 220
38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황희수 2022.02.09 0 216
37 [KCI] 동아현, 강정은, 이상혁, 하지혜, 이지윤 (2021). 기후변화 적응대책·기술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49-66. 황희수 2021.03.30 0 358
36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0). 한국과 일본의 빈집 현황과 발생 요인에 관한 실증적 비교분석. 국토계획, 55(7):56-72. 황희수 2021.01.18 0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