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4.11.19
수정일
2024.11.19
작성자
최훈혁
조회수
29

[SCI(E)] 이지윤, 황희수, 강정은, 최희선 (2025). Factors affecting urban park utilization in Seoul: Insights from telecommunication data. Cities. 156:105452

이지윤, 황희수, 강정은, 최희선 (2025). Factors affecting urban park utilization in Seoul: Insights from telecommunication data. Cities. 156:105452 


 This study utilizes big data from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o analyze the transient population in 119 neighborhood parks in Seoul in order to determine the actual population of urban park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utilization. Park utilization is defined as the number of people per unit area of a park. The factors affecting park utilization include individual park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egree of aging, park type, internal park facility characteristics, and park location characteristics. Park location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using network analysis to examine accessibility, land use, and population within each park's service area. Us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we found that individual park characteristics, including age and park type, had the greatest impact on park use, followed by park location and internal facility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as park age increased by one year, utilization decreased by 1.2 %. Utilization was 5.3 times higher in living zone neighborhood parks and 1.44 times higher in walking zone neighborhood parks compared to city/regional zone neighborhood parks. Parks with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ose situated near subway stations were more likely to be used. Additionally, the larger commercial areas and fewer residential areas near the park, the greater the utilization of neighborhood parks. 


Keywords : Neighborhood park; Park utilization; Service are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ransient population 


연구과제 : 환경보건감시체계, 기후탄력성 


DOI 링크 : https://doi.org/10.1016/j.cities.2024.105452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KCI]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부산광역시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과 지역 폭염 취약 특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4), 465-485.
최훈혁 2025-04-07 16:07:01.58
이전글
[SCI(E)]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Greening Vacant Houses in Old Downtown Metropolitan Areas. Sustainability. 16(1):114
최훈혁 2024-07-16 12:52:59.797
RSS 2.0 55
게시물 검색
연구논문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55 [KCI]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부산광역시 무더위쉼터 서비스권역과 지역 폭염 취약 특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0(4), 465-485. 최훈혁 2025.04.07 0 12
54 [SCI(E)] 이지윤, 황희수, 강정은, 최희선 (2025). Factors affecting urban park utilization in Seoul: Insights from 최훈혁 2024.11.19 0 29
53 [SCI(E)] 카마타 요코, 윤성환, 이태철, 강정은 (2023). Flood Risk and CO2 Mitigation: Analysis of Climate Change Response of 최훈혁 2024.07.16 0 32
52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대도시 원도심 빈집 고착화와 재사용 영향요인에 관한 질적 연구 : 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8(7):96-107 최훈혁 2024.07.16 0 44
51 [SCI(E)]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3). Effect of greening vacant houses on improvement in thermal environment using ENV 최훈혁 2024.07.16 0 24
50 [KCI] 이세호, 강정은, 이지윤, 박민영, 최지윤 (2023).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 정책이 미세먼지 농도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분석. 환경영향평가. 32(5):318- 이세호 2023.10.27 0 85
49 [KCI] 최지윤, 박민영, 강정은 (2023). 머신러닝과 공간분석을 활용한 부산시 중심지 체계 및 영향권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3):66-85 이세호 2023.10.27 0 87
48 [SCI(E)] KIM, T.H., PARK, C.S., LEE, S.H., KANG, J.E. (2023). Gap Analysis Between the Level of Heat Wave Ada 이세호 2023.05.22 0 199
47 [KCI] 황희수, 최지윤, 강정은 (2023). 폭염 취약지역과 건강 피해 발생의 공간적 일치성에 따른 지역 유형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26(1):89-113. 황희수 2023.04.14 0 165
46 [KCI] 하지혜, 강정은 (2022).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도시 압축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소멸위험도시를 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3):29-58 이세호 2022.11.15 0 163
45 [KCI] 김종성, 강정은 (2022). ENVI-met을 활용한 도시개발사업에 따른 열환경 변화 분석 :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기후변화학회지.13(5):659-677. 이세호 2022.11.09 0 155
44 [SCI(E)] Lee, S.H, Kang, J.E. (2022).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and urban spatial characteristics on urban 이세호 2022.11.07 0 129
43 [KCI] 이지윤, 강정은 (2022).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령층 활동 공간 패턴 및 특성 분석 : 청장년층과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7(3), 161-173. 이세호 2022.08.23 0 234
42 [KCI] 이상혁, 강정은, 배현주 (2022). 빅데이터 기반 폭염 영향 지역의 공간적 탐색: 도시민의 활동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3), 59-67. 이세호 2022.08.23 0 189
41 [SCI(E)] LEE. S. H., KANG. J. E. (2022). Spatial Disparity of Visitors Changes during Particulate Matter Warn 이세호 2022.05.27 0 197
40 [KCI] 문성곤, 강정은 (2022). 스마트기기 기반 공간정보가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한 시민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5(1):56-76 이세호 2022.05.27 0 169
39 [SCI(E)] HA, J. H., KANG, J, E. (2022). Assessment of flood-risk areas using random forest techniques: Busan 이세호 2022.04.28 0 220
38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1). 대도시 원도심 노후 밀집주거지 빈집 발생, 고착화 및 재사용에 관한 연구:부산 아미동·초장동을 사례로. 국토계획, 56(7):73-86. 황희수 2022.02.09 0 216
37 [KCI] 동아현, 강정은, 이상혁, 하지혜, 이지윤 (2021). 기후변화 적응대책·기술의 지속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및 적용.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2(1):49-66. 황희수 2021.03.30 0 358
36 [KCI] 카마타 요코, 강정은 (2020). 한국과 일본의 빈집 현황과 발생 요인에 관한 실증적 비교분석. 국토계획, 55(7):56-72. 황희수 2021.01.18 0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