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2024.06.05
수정일
2024.06.05
작성자
최훈혁
조회수
8

황희수, 강정은 (2024). 3차원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부산 N분 도시 현황 및 영향 요인 연구: 경사도를 고려하여

황희수, 강정은 (2024). 3차원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부산 N분 도시 현황 및 영향 요인 연구: 경사도를 고려하여. 2024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술대회. (2024. 5. 9. - 2024. 5. 1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N-minute city in Busan through a three-dimensional network analysis considering topography and to investigate the urban characteristics influencing the achievement of N-minute city. In this study, the functions and facilities of N-minute city were categorized into 8 functions and 33 facilities, including caring, medical, learning, public transport, culture, sports, parks, and living. The time criteria were set at 15 minutes (Busan), 10.7 minutes (national average pedestrian travel time), and 6.9 minutes (Busan-Ulsan metropolitan area average pedestrian travel time). The results of the N-minute city status analysis indicate that the achievement rate for the 6.9-minute criterion is approximately 20%, while for the 10.7-minute and 15-minute criteria, it stands at 40% and 60%, respectively. The areas achieving N-minute city are primarily located in the central region of Busan, where both the current downtown and the historical downtown coexist. In contrast,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of Busan show marginalized areas with no functions reaching, revealing regional disparities. The application of slope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reach range for all functions, with a more pronounced impact on lower reach ratios. Differences based on functions are also observed. For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urban characteristics, the study employs the Spatial Error Model and 19 urban characteristic variables. 10 variables ar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all conditions.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s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status of N-minute city exhibits significant variations depending on conditions, and considering the significant impact of slope, analyzing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is crucial for formulating policies with high perceptibility and effectiveness. Secondly, to achieve N-minute city, a demand-base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Factors influencing N-minute city generally show the impact of variables related to demand, and areas with higher demand tend to be closer to N-minute city. 


키워드 : N분 도시, 3차원 네트워크 분석, 경사도, 도시특성, 공간회귀 


사사 : 스마트시티

첨부파일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
다음글
최지윤, 강정은 (2024). 아동친화시설의 공간 접근도를 이용한 공급 적절성 평가 및 영향요인 분석
최훈혁 2024-06-05 13:14:42.59
이전글
박민영, 강정은 (2024). 가로 단위 보행만족도 예측 모델 구축 및 부산시 적용: 의 미론적 분할 알고리즘과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최훈혁 2024-06-05 13:12:02.423
RSS 2.0 109
게시물 검색
학회발표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첨부파일 조회수
109 동아현, 이병철, 최훈혁, 강정은 (2024). Analyzing the Impact of Disaster Resilience and Disaster Perception on Li 최훈혁 2024.11.19 0 6
108 이병철, 최훈혁, 강정은 (2024). 연안 지역 유형화를 통한 연안통합관리계획의 방향성 제고 최훈혁 2024.11.19 0 6
107 이지윤, 박민영, 강정은 (2024). 폭염 기후탄력성 영향요인 분석: 4Rs를 기반으로 최훈혁 2024.11.19 0 4
106 이정민, 강정은 (2024). 목조 건조물 문화유산의 기후변화 잠재적 영향 지역 분석 최훈혁 2024.11.19 0 4
105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Accessibility Analysis of Cooling Centers in the Mountainous Area 최훈혁 2024.11.19 0 5
104 이지윤, 황원실, 이정민, 강정은 (2024). Measurement of Urban Climate Resilience of Heat Wave 최훈혁 2024.11.19 0 11
103 이지윤, 강정은 (2024). 폭염 도시기후탄력성 측정에 관한 연구 최훈혁 2024.11.19 0 2
102 동아현, 강정은 (2024). 지역사회의 재난회복력과 개인의 재난인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훈혁 2024.06.05 0 37
101 최지윤, 강정은 (2024). 아동친화시설의 공간 접근도를 이용한 공급 적절성 평가 및 영향요인 분석 최훈혁 2024.06.05 0 13
100 황희수, 강정은 (2024). 3차원 네트워크 분석에 따른 부산 N분 도시 현황 및 영향 요인 연구: 경사도를 고려하여 최훈혁 2024.06.05 0 8
99 박민영, 강정은 (2024). 가로 단위 보행만족도 예측 모델 구축 및 부산시 적용: 의 미론적 분할 알고리즘과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최훈혁 2024.06.05 0 6
98 최지윤, 박민영, 황희수, 강정은 (2024). 열환경 지수 개발을 통한 폭염이 도시민 활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훈혁 2024.06.05 0 9
97 박민영, 강정은 (2024). 머신러닝 기반 온열질환자 발생 등급 지수 예측 최훈혁 2024.06.05 0 7
96 동아현, 강정은 (2024).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한 재난피해액 영향요인 분석 : 재난회복력지수를 활용하여 최훈혁 2024.06.05 0 21
95 이지윤, 이세호, 박민영, 최지윤, 강정은 (2024). 임계치 기반의 폭염 도시기후탄력성 측정에 대한 연구 최훈혁 2024.06.05 0 13
94 최훈혁, 이병철, 강정은 (2024). 경사로를 고려한 무더위 쉼터에 대한 취약계층의 접근성 분석 -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최훈혁 2024.06.05 0 20
93 최지윤, 정보경, 문동빈, 강정은 (2023). 아동 놀이 및 복지시설의 공간 분포 특성 분석.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최훈혁 2023.11.13 0 8
92 최훈혁, 이지윤, 이병철, 강정은(2023). 원헬스-도시계획 연계를 위한 신종 인수공통감염병 발생 위험평가 최훈혁 2023.11.13 0 35
91 황희수, 강정은(2023). 15분 도시 개념의 국내 적용 가능성 및 효과 분석.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최훈혁 2023.11.13 0 6
90 박민영, 최지윤, 강정은 (2023). 머신러닝을 활용한 부산시 중심지 체계 분석과 소외지역 도출. 2023 한국지리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최훈혁 2023.11.13 0 3